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주식 이야기123

EBITDA는 이제 알았고, EV/EBITDA는 뭘까? EBITDA는 이제 알았고, EV/EBITDA는 뭘까? 지난번에, EBITDA에 대해서 포스팅했는데요. 2021.07.29 - [주식/투자 공부] - EBITDA,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히 뭘까? EBITDA,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히 뭘까? EBITDA,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히 뭘까? EBITDA 는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어입니다. ( * Interest : 이자 , Taxes : 세금 , Depreciation : 감가 , Amortizati.. more-dividend.tistory.com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 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 " 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면 EV는 무엇일.. 2021. 8. 13.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 어떻게 다를까?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 어떻게 다를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위해 투자하는 morediv입니다. 최근 미친듯이 늘어나는 통화의 유동성 때문에, 인플레이션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이다, 말이 많은데요. 이런 전문 용어가 뉴스에 나오면, 대충은 알겠는데 싶으면서도 정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모르시는 분이 더 많지 않을까 싶어요! 이러한 전문 용어는 많은 설명을 함축적으로 담아서 표현하기 때문에, 알아두면 더 폭 넓게 뉴스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답니다!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짚고 넘어가시면 좋겠습니다~~ " 인플레이션 (Inflation) = 물가 상승 "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면 화폐가치가 하락해 일반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보통 인플레이션하면 베네수엘.. 2021. 8. 9.
곧 열리는 '테슬라 AI 데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곧 열리는 '테슬라 AI 데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위해 투자하는 morediv입니다. 7/29일 일론 머스크 트위터에서 드디어 AI DAY의 일정이 나왔는데요! 8월 19일에 AI 데이를 한다고 하네요. (한국 기준으로는 8월 20일 새벽에 진행되겠네요!) 이번 AI 데이의 가장 큰 목적은 테슬라의 AI 기술력을 홍보하고, 더 좋은 인재를 유치하기 위함인데요. 자세한 발표 예정 내용은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좋은 인재들은 이번 행사의 발표를 쉽게 알아들을 수 있겠지만, 일반 투자자들이 과연 이 행사를 얼마나 잘 알아듣고 가치를 메길 수 있게끔 행사를 진행하느냐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지를 결정할 것 같습니다. 작년에 .. 2021. 7. 31.
2021년 2분기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 삼성전자 배당조회 사이트) 2021년 2분기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 삼성전자 배당조회 사이트)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위해 투자하는 morediv입니다. 최근 삼성전자의 주가가 오랫동안 횡보해서 투자자 분들이 많이들 힘들어하시는데요. 사실, 삼성전자라는 회사는 굉장히 큰 회사로, 주가가 빠르게 움직이기는 쉽지 않은 회사입니다! 하지만, 삼성전자 주식은 매분기별로 배당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배당을 받으면서 기다리다 보면, 기업이 꾸준히 성장하기 때문에, 결국 주가도 다시 오를 것입니다. 지루한 횡보이지만, 이번 배당을 받고 또 한번 이겨내보자구요!! ㅎㅎㅎㅎ . 배당 기준일 : 6월 30일 (수) . 배당락일 : 6월 29일 (화) . 배당금 지급일 : 8월 18일 (수) 제가 포스팅하는 날이 7/30(금)이니, 3주도.. 2021. 7. 30.
EBITDA,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히 뭘까? EBITDA,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히 뭘까? EBITDA 는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어입니다. ( * Interest : 이자 , Taxes : 세금 , Depreciation : 감가 , Amortization : 상각 ) 즉, '이자', '법인세', '감가상각'을 빼기전의 영업이익을 의미합니다. 위의 손익계산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원가 - 판관비 - 영업비용 - 법인세 " 와 같이, 여러가지 여러 비용을 다 제외하고 나서 순이익을 계산하게 됩니다. 하지만, 회사가 더 성장하기 위해서 부채를 일으키고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게 되면, 부채에 대한 이자도 늘어나고, 감가상각도 .. 2021. 7. 29.
GAAP EPS 와 non-GAAP EPS의 차이, 알고 투자하자 (with. 테슬라 실적발표) GAAP EPS 와 non-GAAP EPS의 차이, 알고 투자하자 (with. 테슬라 실적발표)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위해 투자하는 morediv입니다. 한국 실적발표(재무제표)에서는 주당순이익(EPS)에 대해서만 표기를 하는데, 미국 실적발표(재무제표)에서는 GAAP EPS와 non-GAAP EPS를 둘 다 표기를 하고 있습니다. EPS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면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어주세요! 2021.07.20 - [주식/투자 공부] - 투자 지표 EPS란 무엇일까? EPS가 클수록 좋은걸까? 투자 지표 EPS란 무엇일까? EPS가 클수록 좋은걸까? EPS (Earning Per Share) 란, 주당순이익으로, 기업이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주당순이익)가 .. 2021. 7.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