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BL 구성 종목이 어떻게 되나요? NOBL 종목 선정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위해 투자하는 morediv입니다.
공부에는 끝이 없다고...
최근에 다시 여러 배당성장 ETF들에 대해서 다시 한번 공부해보고 있는데요.
이후 SCHD와 같이 모아갈만한 보완해줄 수 있는 좋은 종목이 있는지 찾는 것이 목표인데요.
일단 유명하게 잘 알고 있는 ETF부터 하나하나 차근히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제 글을 읽으시는 분이라면 배당성장이나 SCHD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실테니,
같이 한번 알아보시죠!
NOBL은 프로셰어즈라는 운용사에서 출시한 ETF로, 2013년 10월 9일에 상장되었답니다.
프로셰어즈라는 운용사를 혹시나 처음 들어보셨을 분도 있을 것 같은데,
우리가 잘 아는 종목으로는 나스닥 레버리지 ETF인 QLD, TQQQ를 운용하는 운용사랍니다!
운용 수수료의 경우 0.35%로, 제가 좋아하는 VOO, SCHD에 비하면 꽤나 높은 수준이죠?
1억을 투자하면, 1년에 35만원은 수수료로 내가 투자한 금액에서 쏙 빼간다는 의미인데요.
그만큼 편리함을 제공해주기는 하지만, 그래도 35만원은 좀 크지 않나요..?ㅎㅎㅎ
(ETF들 수수료 열심히 내리던데, NOBL도 내리면 좋겠네요.)
자산 규모는 $12.09B으로, 원화로는 약 16.3조원 정도의 규모입니다.
24년 5월 22일 기준으로, 산업재에 24.25%, 경기 방어주에 23.51%, 원자재 10.77%, 리츠 4.53%, 테크 2.9%, 에너지 2.83%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상위 10개 투자 종목으로는 C.H. Robinson이라는 운송 회사에 1.77%, 넥스트에라 에너지 기업에 1.70%, 에어프로덕츠라는 산업용 가스 및 화학 물질을 판매하는 기업에 1.67%, 월마트, 3M, 도버 등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섹터 비중이나 구성 종목만 보아도, SCHD와는 다른 전략으로 운용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지 않나요?
NOBL은 어떠한 기준으로 포트폴리오 종목을 선정하고 운용하는지 알아보시죠!
1. 배당 귀족(Dividend Aristocrats)
NOBL ETF의 핵심은 '배당 귀족'입니다. 배당 귀족 기업들은 S&P 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 중 최소 25년 이상 연속으로 배당금을 증가시킨 기업들입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안정적인 재무 상태와 장기적인 주주 가치 창출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2. 지수 구성 요소
NOBL ETF는 S&P 500 Dividend Aristocrats Index를 추종합니다. 이 지수는 배당 귀족 기업들로만 구성되며,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검증된 배당 증가 기록을 가진 기업들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배당 귀족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지수는 비교적 소수의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3. 시가총액 및 유동성 요건
지수에 포함된 기업들은 S&P 500 지수의 구성 요소로서 일정 수준 이상의 시가총액과 유동성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지수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투자자들이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유동성이 높은 주식들은 매수와 매도가 용이하며, 시장 변동성에 대한 대응력이 높습니다.
4. 섹터 다양성
S&P 500 Dividend Aristocrats Index는 각 섹터별로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정 섹터에 대한 과도한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섹터당 최대 30%의 비중을 두는 등 섹터 다양성을 고려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다양한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연간 리뷰 및 리밸런싱
지수 구성 요소는 1년에 한번 종목 교체와 분기별 리밸런싱을 통해 조정됩니다. 1년에 한번 배당 귀족 기준을 계속 충족하는지 확인하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은 지수에서 제외됩니다. 분기별 리밸런싱을 통해 각 기업의 비중을 조정하여 지수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이는 시장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포트폴리오의 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NOBL ETF는 S&P 500 지수 내에서 최소 25년 이상 연속으로 배당금을 증가시킨 기업들로 구성된 S&P 500 Dividend Aristocrats Index를 추종합니다. 배당 귀족 기업을 선정하고, 시가총액 및 유동성 요건을 충족하며, 섹터 다양성을 고려하고, 연간 리뷰와 분기별 리밸런싱을 통해 구성 요소와 비중을 조정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NOBL ETF는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배당 수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CHD와 추종하는 기초 지수부터 다르고, 실제 구성하는 섹터 비중과 구성 종목마저 다르니 운용 전략만 살펴보면 보완해서 투자하기 좋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다음번에는 SCHD와 NOBL의 겹치는 종목은 몇개고,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GRO 구성 종목이 어떻게 되나요? DGRO 종목 선정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5.26 |
---|---|
VIG 구성 종목이 어떻게 되나요? VIG 종목 선정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5.24 |
SCHD 구성 종목이 어떻게 되나요? SCHD 종목 선정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5.24 |
[DivPick] 창고형 매장의 거장, 코스트코 (COST) 종목 분석 (0) | 2024.02.14 |
[DivPick] 나스닥 그 자체, Nasdaq, Inc. (NDAQ) 종목 분석 (1) | 2024.01.24 |
댓글